국내 개인 투자자들이 미국 뉴욕 증시의 S&P500과 나스닥 지수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장은 하락세를 보이며, S&P500 지수는 연중 마이너스로 전환했고, 나스닥도 5% 가까이 하락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인 투자자들은 적극적으로 매수를 늘리며 '물타기' 전략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이 번 글에서는 국내 개미들의 투자 트렌드, 레버리지 상품 투자 증가, 미국 증시에 대한 월가의 전망을 중심으로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개미들의 미국 지수 투자 트렌드
올해 국내 개인 투자자들의 순매수 상위 1~4위 종목은 모두 미국 뉴욕 증시의 지수 투자 상품이었습니다. 이는 미국 증시에 대한 국내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보여줍니다. 주료 투자 종목과 투자 규모는 다음과 같습니다.
- TIGET 미국S&P500: 5,579억 원 순매수
- KODEX 미국S&P500: 2.577억 원 순매수
- TIGER 미국나스닥100: 2,482억 원 순매수
- KODEX 미국나스닥100: 2,290억 원 순매수
이들 상품의 수익률이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 투자자들은 지속적으로 매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최근 5거래일 동안 S&P500은 2% 이상, 나스닥은 4% 이상 하락했지만, 개미들은 이 시기에도 적극적으로 매수에 나섰습니다.
서학개미들의 레버리지 투자 증가
서학개미(해외 주식 투자자)들은 단순 지수 상품뿐만 아니라 레버리지 상품에도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스닥100을 3배 추종하는 'TQQQ' 상품에 대한 투자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 최근 5거래일 동안 TQQQ만 1억 6,153만 달러(약 2,361억 원) 매수
- 하지만 같은 기간 TQQQ 하락률 13% 기록
이는 서학개미들이 단순한 장기 투자뿐만 아니라 단기 반등을 노린 공격적인 투자 전략을 취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레버리지 상품은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미국 증시 전망: 월가의 경고
미국 월가에서는 현재 S&P500과 나스닥 지수의 상승 기여도가 감소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형 기술주의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 바클리스 분석가 베누 크리슈나: "S&P500의 주당순이익(EPS) 전망치가 273달러에서 271달러로 하향 조정"
- MSCI 미국 지수: 올해 들어 1.16% 하락
- MSCI 월드 비미국 지수(미국 제외 글로벌 증시): 같은 기간 7.87% 상승
블룸버그 인텔리전스(BI)는 S&P500이 연초부터 글로벌 증시보다 2.8%포인트 이상 하락하면, 연간 기준으로 글로벌 증시를 초과 성과(아웃퍼폼)하기 어렵다고 경고했습니다.
BI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 35년간 S&P500 상승률이 2월 중순까지 글로벌 증시를 크게 밑돌았던 6번의 사례에서 연말까지 평균 6%포인트 낮은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 BI 애널리스트 길리안 울프: "시장 펀더멘털이 약화하면서 증시 회복 가능성에 대해 중대한 적신호가 나타나고 있다."